Index
Date
의 회의록 마스터 : 고주형
Participants
TEAM FIRE (윤영기 고주형 이하령) + WonYong Jeong
Discussion topics
다른 팀 상황
다른 팀도 비슷하다
빠르면 WireFrame 갖췄다
우리 팀
현재 할 수 있는 수준으로 해보자!
기획 피드백
주요 기능
기획 심사위원들이 보신다
심사위원은 기술자가 아니다
주요기능은 곧 메뉴명
RealTimeCommunication / Social Networking
/ Lobby
이런 기술적 용어를 메뉴명으로 바꾸자
예를 들어서
모각코 모임홍보 / 참여 기능
모임단위의 커뮤니티
실시간 모임 / 통신
통계
주요기능 X
왜 반박 안 해?
테마
주요기능 X
팁
메뉴별로 조금 더 구체화해야 한다
설명이 빈약하더라도 오해 X하게
수행방법
확보방안
Open API ㄱㅊ
주요기능적 입장
직접 개발하는 것은 개발한다라고 표현
개발 안 할 것은 사실 Third Party
디자인만 아웃소싱
추진 일정
MVP를 지속한다
차라리 MVP 1.0 / 2.0 / 3.0
MVP의 산출물의 정의
내부 릴리즈
내부 검증
베타 릴리즈
베타 테스트 오픈 용
퍼블릭 릴리즈
플젝 최종 결과물
고민거리
현실적으로 MVP를 몇 번 만들 수 있을까?
팁
MVP별로도 해석의 여지를 좁혀주자
부연설명 필요
기대효과
사용자 측면
고객 정의가 안 되어서 어렵다
프로젝트 팀은 해결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가진 문제점이 있다
고객의 가진 문제가 해결되는 것
고객의 페인포인트 (정의가 되어 있느냐)
예를 들어서,
모각코 모임을 찾고자하는 노력을 우리 커뮤로
공개된 SNS로만 모집하던 것은 전용 플랫폼으로
코딩에 최적화되지 못한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비지니스적 측면
광고 시청
우리 비지니스와 직접적인 연결점이 드라나지 않음
유사방식의 다른 서비스에서 착안하자
동기부여 VS 코드리뷰
부분적 BM을 어떻게 활성화할까?
프리미엄
모임의 인원에 따른 수수료
방안 2가지
이런 기능~ 들어가서 이렇게
다른곳에서 ~이렇게 돈 벌어서 이게되넹
개발자 측면
프로젝트 런칭 경험
활용하는 여러 기술
미디어 데이터 처리
백 / 프론트 상용화까지의 경험
결과물 형태
웹 서비스
PC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Saas 형태
모각코를 어떻게 정의하냐에 따라 다르다!
PC를 항상 띄운다
코딩 공부를 한다
핸드폰도 가능
결론
아직은 UI 기획을 진도를 나가야 구체화된다
Figma을 wireframe으로 쓰자
스샷 떠서 직접적으로 활용
완성도 있는 모습을 피그마로 동영상 만들어서 데모도 가능
영기님의 피그마 공유
https://www.figma.com/file/07A8Rv5PDHmjbNOCi7yr9l/Untitled?node-id=0%3A1
개인정보 못 가린다
ㅇㅇ못가리징
우리가 모임의 대상에게 주고 싶은 기능이 뭐냐?
아직은 불분명
의문
화면공유만 있으면 충분해?
결국에는 디스코드나 트위터를 통해서 모집 && 디코로 실행
이것만으로 굉장히 심플한데 차별점이 뭐징?
결국에는 다시 페르소나에서 시작해야 한다
우리가 핵심고객에게 문제점이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아서 그래
우리의 당위성
수요가 있다 = 해봄직하다
=> 해결해주고 싶은 고객의 니즈는 뭐야?
이렇게 가야 돼
우리가 주고 싶은 핵심고객의 해결책은 이 페르소나를 해결해주는 거야!
이 사람의 문제점을 디깅하고 아 그래서 이 기능 필요/나와야되넹
지지난주에 이런 저런 이야기 하다가 나온 것이 라이브쉐어에 있는 몇가지 기능을 직접 만들어서 제공해보면 어떨까?
이런 이유가 나오는 이유는 우리 고객의 문제점 정의가 아직은 안 됐다!
=> 반박할 것 찾아!!! 우리는 굉장히 뚜렷한 문제정의!
지난주 이야기
핵심 기능 중 몇 가지
접속시간
만남의광장
친구추가
방
통계
디펜스 해야지!!
나온 아이디어
코딩 모습을 커서 위치 기억해서 어딜 어떻게 확인
맥락을 가지고 말로하는 표현 글로 표현
에디팅하는 것의 레코딩
라이브 에딧팅
단순 화면 공유를 넘어서 진입 장벽 + 라이브 에디팅 + STT
현재 상황 반영한 결론
구체화가 되어야 한다!
시험 끝나고 한글파일만 만들면 돼!
멘토링 = 일단은 발표
이번주는 한글 파일만
다음주는 리허설
시간적으로 가능한가?
의문
MVP에 어떤 기능이 들어갈지가 뚜렷하지 않다
= 최종결과물은 이거다 가능한데 아직은 뚜렷하지 않다우리가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이 뚜렷하지 않다
요 부분에 대해서만 이 관점에서는 걱정 안 해도 된다
일정 조율
하령님
토, 일
월 화는 오프는 힘듦
온라인 가능
수요일부터는 FREE
조언
기획서에서 디테일의 단추를 찾을 수 있다
어떤 어떤 기능 필요
왜 나왔어?
누구의 문제점을 해결하려 나온거야!
우리 생각 기능 구체화만 해도 돼
PPT는 거기서 조금만 더 시각화이다
다음주는?
기획서에 꼼꼼히
내일까지 합의
주형 영기가 우선순위 좀 더
PPT 하면서 활약
우린 팀원들중 결원이면 내가 메꾸면 된다!
문제는 결원인지 모르는 것
빠지는 한 사람의 리소스를 잘 분배하는 것이 중요!
기획서를 만드는데 그 안의 피드백 내용 반영
기능 명세는 굉장히 디테일하게 들어가줬으면 좋겠다
그래야 와이어프레임 가능
MVP 넣어야하는 것은 굉장히 촘촘하게 글로 넣어라!!!
그것만 된다면 정원용 멘토님은 다음주도 불안하지 않다
화요일까지는 피피티가 나올 것!
내일은 외부라 메시지는 안 기민 but 전화 가능
정원용 멘토님과 목요일 리허설
내일 무조건 마무리한다해도 수정해야할 것임
명확한 데드라인은 시간이 촉박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끝나는 이슈라서 충분히 넘길 수 있다고 자각하고 용기를 갖자!
질문
심의 통과 가능할까요?
준비만 잘하면 된다!
자료만 잘 갖추자!
자신감!!
모여서 할 때 집중하자!
일주일만 타이트하게 가자!
하고 싶은 말씀
1. 서비스나 BM은 언제나 근거를 가지게 마련이다
폰 겜?
카드 겜 / 롤플레잉
뽑기
분야
공통되는 방법이 있다
이런거에 유저가 반응했다는 데이터를 가져와서 BM에 넣어야 한다
우리 선택하는 기능은 우리의 그림만으로 나오는 게 아니다!
유사한 기술 스택과 유사한 고객환경에서 차용하게 될 것이다.
메뉴를 정의하는데 있어서 막히면 우리 것과 유사할 것과 있는것에서 어떻게 풀었는지 가져와라.
우리 서비스에서 레퍼런스가 있는 선택을 한 것이다
= 모방이 아님
2. 지라는 이번주 패스
3. 다음주에 자료들 만들고 발표는 누가 할지 미리 한번 생각
4. 나눠하든 함께하든 스크립트를 가지고 있으면 좋을 것이다!
5. 발표 연습을 해보고 와라잉.
심사위원이라고 생각하고 피드백 해줄게
그전에도 언제든지 연락 해!
TODO
내일 저녁
저랑 영기님
피드백
완성한 토요일 기획서
PPT
토요일 집중
After 회의
하령님
금 X
토 16:30 ~ fulltime
일 X
발표의 장인
화요일 셤 끝나시면 하령님 슬라이드 순서 맞추기
영기님
화 X
수 X
피그마의 장인
주형님
PPT의 장인(노예)
수요일에 리허설
화일 저녁까지 PPT
내일
기획서 돌변 가능
문제점 해결 X
무미건조 특색이 없다
토요일까지 심의
반박할 근거 갖추거나
수요가 있다
뚜렷한 타겟층 특색
멘토님의 마지막 부탁
기능 구체화가 되어야 한다!
뚜렷한 고객의 문제가 정의
게더 타원
상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