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x
Date
의 회의록 마스터 : 고주형
Participants
TEAM FIRE (윤영기 고주형 이하령) + WonYong Jeong
Discussion topics
하령님의 발표 후
걸린시간: 11분
완급 조절하면 15분 가능
질문 1
웹RTC 화면 공유 필요하나요?
→ 트랙픽
수익화 방안?
사업자 등록?
→ 소마 내에 불가능
→ 기술적수준으로 준비하겠다
팁
한번은 고민은 해봐꾸나 정도
심사위원님과 생각을 공유해라!
아 그럴 수도 있겠네용.
저희 팀내에서 의견은 이것을 모아졌어요.
질문 2
모여서 각자 코딩하며 타인의 화면을 보는 상황이 과연 있을까요?
화면공유 안 쳐다보는 것 아닌가요?
타인 내화면 보고 있는 것만으로도 긴장됩니다.
흐트러지지 않음
질문 3
White Noise
같은 공간, 동질감
노래를 함께 듣는 것
레퍼런스 여러 기능 중 하나가 우리 서비스에 도움이 된다
음악을 함께 듣는다
방 분위기 형성이 도와준다
질문 4
코드 공유 필요? 어떤 것?
설문조사 상에서 필요하다 나왔습니다.
설문조사상 여러 의견 중 몇가지네요. 이게 주요 기능으로 들어가는 것이 타당하나요?
넹
질문 5.
우리 서비스는 코딩과 관련된 플젝
특별한 기능과 장점이 보이지 않아요.
정작 코딩과 관련해서 몇 개가 안 보여요.
모여서 각자 일하는 것을 도와주는 것이 아닌가요?
현재 보고 있는 화면에 큰 의미를 두진 않겠다.
→ 먹방/독서실 방송/도 방송이 됩니다.
내가 코딩하는 이것 자체가 방송 컨텐츠가 될 수 있습니다.
→ 자극 받고 싶은 사람들이 볼 수 있는 장소이다.
교육 방송은 있지만 공부를 하고싶게 만드는 방송은 없습니다.
누군가가 코딩하고 있는 화면을 저 사람은 뭘 하고 있나 볼 수 있다.
→ 보편적인 화면 공유
코딩이라는 특수성을 가지고 가능
화면 보호
특정 위치나 탭을 가려준다
질문 6.
코드 공유화면 디버깅. 어떻게 가능한가요?
나누어서 답변하자.
1. 한팀에서 각자의 장소에서 할 수 있다
그런 맥락이면 같은 팀끼리 가능
2. 모르는 사람들끼리는 조각코드를 가지고 모각코
나중에 이렇게 갈 수도 있겠다. [ 코딩하는 채널 ]
티비 채널 돌리기 - 다른 사람들이 코딩하는 화면 - 코딩을 아는 사람은 상당히 흥미로울 것.
내 화면 띄워놓고 보건 말건 나는 일단 송출
진정한 코딩교육 방송 컨텐츠
주요 질문 포인트
왜 코딩과 관련된 프로젝트인가?
단순 모임 제공 플랫폼과 다른 점이 뭔가? 왜 코딩인가?
단순 코드 공유는 깊게 와닿지 않는다.
이런 특징이 있는 서비스다!
개발자에게 최적의 코드공유를 할 수 있는 주요 기능 제공
화면 공유 가리기
기술적으로 해결한 서비스는 본적이 없다
주요 기능에서 제공에서 스펙트럼이 그렇게 넓지 않아 보인다.
프로젝트 스펙트럼이 6개월 동안 이것만할 것인가?
=> 우리 서비스 스펙트럼이 생각보다 넓어!
[이걸 보여주자. 우리 생각보다 할게 되게 많아요!]
=> 기술적 깊이가 높아!
[아 실제로 개발할게 되게 많겠구나!]
대답 요령
우리 팀도 심사위원님께서 얘기한 것을 얘기해보았다 현재의 합의점이 이것이다. 바꾸겠습니다.
ex. 광고 붙이면 되겠넹?
아! 충분히 공감됩니다
기술적인 질문
AWS 람다랑 게이트웨이는 느립니다. 이걸 사용해서 실시간 통신을 어떻게 할건가요?
→ API 게이트웨이 Websocket을 지원해서 실시간 통신이 가능합니다.
→ 중앙서버를 통해서 실시간 통신을 해줄 수 있습니다.
API G/W를 통해 채널은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요?
방에 메시지 송출(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은 어떻게 할 것인가요?
방장이 방 생성하는 것은 어떻게 할 것인가?
브로드케이스트 서버가 DynamoDB
→ Reddis가 유리하다
Pub/Sub 구조
방을 Sub
→ 레디스 연동을 염두해두고 있습니다.
먼저 WebRTC관련해서 화면공유되는 것을 구현하려고 구성도를 위와 같이 그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