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별) Index

(파란별) Date

의 회의록 마스터 : 고주형

(파란별) Participants

TEAM FIRE (윤영기 고주형 이하령) + WonYong Jeong

(파란별) Discussion topics

Jira Review

스토리는 결국 말이 되어야 한다
그 스프린트 안에 어떤 결과물이 보여야 한다
설명을 통해 개발자 요건 정의

스프린트를 정하는 요령

스프린트 끝나고 뭘 확인할 것이냐
어떤 결과물을 확인하기 위한 스프린트냐

역할 분담을 하는 곳

백과 프론트는 하위 이슈단계에서 구분한다

스크럼마스터가 할 일

스토리를 채우며
요건 정의(핵심만!)

  • 어떤 요건은 우선 순위가 낮다
    배경지식
    선행지식
    후행작업

이슈를 완료한다면?

개봘 완료시 댓글
개발 상황 공유

  • AWS VM 생성

  • 노드 16... 설치

스토리 예시

공유 화면이랑 채팅은 별개다

3개 스토리 안에 1~20개의 하위 이슈

  • 3개 스토리를 위한 스크럼 마스터

스프린트를 정할 때

다음은?
다음은 어떤 데모를 할까?
팀원은 그 스토리를 위한 하위 이슈를 적는다

스크럼마스터는?

스크럼마스터가 실무 개발자가 아닐 수 있다
프로젝트 매니저일 수 있다
작업 이슈를 만들 수 없다

우리 조직은 이번 스프린트 때 어떤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중간에 이슈

중간에 이슈가 생긴다면...
= 중간에 인터럽트
= 그럴 시간이 없을 것
=> "어떤 스토리를 희생하겠다!"

스프린트 중간에 추가 이슈
다른 이슈의 우선 순위가 낮아질 여지가 있다

스토리에 우선순위가 있다
우선 순위에 밀리는 것은 욕심일 수도 있다

할일이 복잡하지 않고 명확해진다

스프린트 후

다음 스프린트에 할 내용 논의
기술 부채 시간 (코드 리뷰, 스파게티 코드)

  • 스프린트 초에 할당

스프린트 시

완벽 코드보다 이걸 완수한다
그리고 못한 것은 백로그에 남기고 기술부채를 갚아나간다

스프린트란? 스프린트는 어떻게 해야 할까?

스프린트 끝나는 날이 데모데이
스토리는 데모를 할 수준으로 만든다
스토리 중심으로 서브태스크를 만들자
많은 스토리를 만들지 않아도 된다
=> 스토리가 적고 분명하면 스크럼마스터 입장에서 "어떤 스토리가 뭉쳐서 제품이 되겠구나"는게 보인다.
=> 기간 예측이 가능해진다.
제목에서 산출물을 기대할 수 있게 만든다
제품 중심의 커뮤니케이션을 하자
=> 한 스토리로 여러 직무의 사람이 같이 채워나가게 된다.
=> 조직이 직무별로 움직이지 않고 제품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 같은 제품 내에서 치고나가고 뒤처진다는 것이 보이고 챙겨줄 수 있다.

스프린트의 주기

기술부채를 못갚고 계속 진행하면 번아웃, 내가 만든 코드지만 두렵다

스프린트 주기가 넓으면

  • 막연하게 할 일 많다

  • 다음꺼 만들 때 지금에서 많이 수정해야 한다

  • 기술 부채가 쌓인다


스터디

스터디는 스터디의 속도가 있고
제품 개발은 제품 개발의 속도가 있다

속도가 다른 것은 최상위(에픽)으로 분류하면 된다


권유

2주 스프린트

  • 한번은 데모데이를 포함한 스프린트 데이 (스프린트를 회고하고 리뷰하는 시간)

  • 다음 스프린트를 위한 백로그를 이야기하는 상황 (그 다음의 스프린트를 정의하는 시간)

  • (스터디/코드리뷰와 별도)

스토리 정하는 법

화면기획 단위로
스토리는 화면의 UI를 만들기 위해서 서브테스크를 구성하는 것
= 어떤 화면을 만들겠다
= 화면을 아예 찍어버리는 것도 좋다

전체 기획서를 볼 수 있으면 좋겠다

스프린트 조언

스프린트가 마무리되면 데모를 한다
데모 이후 코드리뷰 같이 하자!
코드리뷰가 유익하려면 정리하면 좋다
커밋할 단위의 코드리뷰를 하자

  • 크게 리팩터링하지 마

    • 그럼 부담돼

  • 코드 스타일 바꾼다

  • 구조에 대한 얘기를 한다

스프린트 날짜는 바뀔 수 있다
=> 그 스토리가 완료되는 날이 중요
=> 하루 더 빠지거나 차이날 수 있어!


디자이너 구인

크몽으로 하면 집중적으로 잘해줌
크몽으로 했는데 중간에 제대로 안해서 계약을 취소
초보자 계속 성장 -> 디자인 성장

개인적 추천

  • 마지막까지 가주는 디자이너가 좋다

  • 시행착오 겪을 것

  • 디자인은 일찍 시작하는 것이 낫다

  • 디자이너 늦으면 디자이너가 만드는 페이지를 재작업하더라

크몽은 단계별 계획

  • 와이어프레임 얼마

  • 기획얼마

  • 마지막 리터치 얼마

테마를 구입해서 하는 것을 추천한다

  • 테마는 3~4만원밖에 안 한다

  • 이런 테마 저런 테마가 있다

  • 몇 가지 사서 두루두루 봐


다음주 목요일

  1. 데모하기

  2. 코드리뷰하기

  3. 다음 스토리 정하기

    1. 다음 스토리 와이어프레임 미리 그리기

  4. 멘토님께서 확인할 수 있는 기획 페이지 만들기

  5. 테마 구입